[아이뉴스24 정유림 기자] 일본 대표 메신저 라인(LINE)에서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촉발시킨 '라인야후' 사태가 어떻게 마무리될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다만 지난 3월 일본 총무성의 행정 지도로 한일 양국에서 큰 파장을 낳았던 당시와는 달리 장기전으로 돌입한 양상이다.
지분 매각 여부부터 라인야후 경영권까지 네이버는 숙고에 들어갔다. 일각에서는 국내 기업이 해외 기업과 협력할 때 지분 구조와 관련한 전략적 대응의 중요성을 '라인야후' 사태가 일깨워줬다는 진단이 나온다.
지분 매각 압박 논란 불렀던 '라인야후' 사태…지분 논의 수면 아래로
11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라인야후를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A홀딩스 지분 매각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 네이버 관계자는 "현재 지분 관련 논의가 진행 중인 것은 없으며 중장기적인 경영 전략 관점에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는 기존의 입장이 (현재도) 동일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메신저 라인 운영사 라인야후의 최대 주주는 지분 64.43%을 보유한 A홀딩스로, 이 회사 지분을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절반(50%)씩 가지고 있다. 소프트뱅크가 지분을 1주라도 더 가지게 되면 네이버는 경영 주도권을 잃게 된다는 점에서 해외 사업 전략 변경이나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등의 우려도 나왔다.
쟁점이 된 지분 매각 압박 논란을 부른 '라인야후' 사태는 지난해 11월 메신저 라인에서 불거진 개인정보 유출을 빌미로 촉발됐다. 올해 3월과 4월에는 일본 총무성의 행정지도가 연이어 두 차례 내려지면서 양국간 마찰의 수위를 높였다. 일본 총무성의 행정지도에는 라인야후-네이버 간 시스템 분리, 자본 관계 재검토 등의 내용이 담겼다. 구체적으로 '지분 매각'이 명시됐던 건 아니지만 사실상 지분 매각을 압박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며 파장이 커졌다.
한일 양국의 여론이 들끓으며 정보기술(IT) 외교전으로 비화할 조짐마저 보였던 가운데, 라인야후가 제출할 보고서에 지분 관련 내용이 담기지 않게 되면서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가 내려진 지 2개월 여 만에 논란이 소강 국면에 접어들었다. 외부 압박에 의해 네이버가 서둘러 지분을 매각하는 일은 피하게 된 것이다.
이어 7월에는 시스템 분리 일정과 후속 조치 이행 사항 등을 담은 라인야후의 재발 방지 대책 보고서를 일본 총무성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입장을 내놨고 소프트뱅크도 네이버와 라인야후 지분 문제에 대한 논의를 당분간 진행하지 않기로 하면서 논란이 일단락됐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 출범에 따른 리더십 변화, 국내 정세 등 대내외 변수가 많아 상황이 바뀔 여지도 있지만 그 가운데서도 이익을 극대화하며 취할 것은 취하는 전략적인 판단과 대응이 앞으로도 중요할 것이라고 본다"고 진단했다.
해외 사업 확장하는 네이버에 '라인야후' 사태가 남긴 것
2011년 6월 일본에 출시된 라인은 이용자 약 9600만명을 확보하며 대표 메신저로 성장했다. 라인은 네이버의 사업 운영 노하우와 정보기술(IT) 역량을 바탕으로 해외에서 큰 성공을 거둔 대표 사례로 꼽힌다.
이러한 경험은 현재도 네이버가 해외 진출과 사업 확장을 이어가는 토대가 되고 있다. 네이버웹툰 모회사 웹툰엔터테인먼트는 미국 나스닥 기업공개(IPO)를 계기로 콘텐츠 기업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다지고 있다. 중동 지역으로의 외연 확장도 본격화한다. 사우디아라비아 현지에 중동 지역 총괄 법인을 세워 사업 기회와 확대를 모색한다.
'라인야후' 사태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플랫폼에 대한 규제가 강화하는 추세를 엿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라인야후' 사태는 네이버가 앞으로의 해외 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 전략적인 대응에 교훈이 될 사례라는 진단이 제기된다.
전성민 가천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플랫폼을 국가의 자산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고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도 이러한 움직임의 연장선상에서 해석해 볼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관련 법안 발의 등 각 나라 상황에 맞춰 플랫폼에 대한 관리(컨트롤)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고 구글, 메타(옛 페이스북) 등 빅테크(대형 IT 기업)에서 각국의 규제 동향 등을 예의주시하며 대응하듯 앞으로 네이버에도 전략적인 대응과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