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갤럭시도 LTE다!! 갤럭시 S2 HD LTE, 갤럭시 S2 LTE

    • 매일경제 로고

    • 2011-09-26

    • 조회 : 9,776

    • 댓글 : 3

    비밀번호 입력 닫기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확인

    갤럭시 S2의 새로운 모델이 출시되었다. 기존 제품에서 화면을 더욱 키우고 4G 통신인 LTE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인데 우선 기존의 S2와 무엇이 다른지 간단하게 살펴보자.

     

    비고

    갤럭시 S2

    갤럭시 S2 LTE

    갤럭시 S2 HD LTE

    CPU

    삼성 엑시노스 4210 듀얼 1.2GHz

    퀄컴 스냅드래곤 듀얼 1.5GHz

    퀄컴 스냅드래곤 듀얼 1.5GHz

    화면

    4.3" 480 x 800 S-AMOLED+ (RGB)

    4.5" 480 x 800 S-AMOLED+ (RGB)

    4.65" 720 x 1,280 S-AMOLED

    (펜타일)

    통신 방식

    SKT/KT: 3.9G HSPA+
    LG U+: 3G CDMA EV-DO Rev. B
    SKT/KT: 3.9G HSPA+ / 4G LTE

    SKT/KT: 3.9G HSPA+ / 4G LTE
    LG U+: 3G CDMA EV-DO Rev. A / 4G LTE

    크기

    6.61 x 12.53 x 0.88cm, 121g

    (SKT / KT)

    6.96 x 13.06 x 0.95cm, 137g 6.88 x 13.27 x 0.95cm. 142g

    배터리

    1,620mAh

    1,850mAh

    1,850mAh

    갤럭시 S2의 각 버전별 비교

     

    갤럭시 S2(KT, 왼쪽)와 갤럭시 S2 HD LTE(LG U+, 오른쪽)의 비교

     

    LG U+ LTE스마트폰들은 SKT/KT와 마찬가지로 USIM을 사용한다 (오른쪽)

     

    SKT 전용 모델로 출시되는 갤럭시 S2 LTE (왼쪽)과 KT 갤럭시 S2(오른쪽)

     

    요약하자면 LTE 지원을 위해 CPU가 바뀌었고 화면을 더욱 키웠으며 배터리 용량도 더 늘린 제품이 갤럭시 S2 LTE / 갤럭시 S2 HD LTE라 생각하면 된다. 그러기 때문에 기본적인 기능은 기존의 갤럭시 S2와 큰 차이가 없는 셈이다.

     

    그렇다면 갤럭시 S2 LTE와 S2 HD LTE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S2 LTE의 경우 SK텔레콤 전용 모델이고 S2 HD LTE는 통신 3사 공통 모델인데 S2 LTE는 4.5” 480 x 800 해상도의 S-AMOLED+를 사용하고 S2 HD LTE는 4.65” 1,280 x 720의 고해상도 S-AMOLED 화면을 사용한다.

     

     

    갤럭시 S2 HD LTE(왼쪽)와 갤럭시 S2 LTE(오른쪽)

     

    일단 세로 해상도가 1,280에 도달했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시 PC페이지를 보더라도 축소 없이 볼 수 있으며 기본 바탕화면의 위젯 배열 역시 한 둘 더 늘어나 세로 5줄의 배치가 가능해졌다. 그리고 넥서스 S / 갤럭시 S와 같은 펜타일 AMOLED이지만 크기 대비 해상도가 워낙에 높다보니 실질적인 가독성은 일반(RGB) OLED인 갤럭시 S2보다도 더 좋은 수준이다.

     

    배터리 또한 1,850mAh로 1,620mAh이었던 갤럭시 S2보다 더 증가했는데 LTE 스마트폰은 3G랑 LTE가 동시에 사용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사용시간은 갤럭시 S2와 비슷할 것이라 삼성 측에서는 밝히고 있다.

     

    그렇다면 LTE 스마트폰의 속도는 과연 얼마나 빨라졌을까? 거두 절미하고 아래를 확인해보자.

     

    KT 3G(왼쪽)와 LG U+ LTE(오른쪽)의 속도 비교.

    절대적인 기준은 될 수 없지만 다운로드와 지연시간(레이턴시)는 양쪽 다 상당히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는 경우다.

    정말 3G보다 5배정도 더 빠르다!

     

    같은 통신사인 SKT LTE(왼쪽)와 SKT 3G(아이폰 4, 오른쪽)의 속도 비교.

    LG U+ LTE보다는 약간 떨어지지만 최대 속도를 감안하면 LG U+ LTE와의 차이는 꽤 작은 편이다.

     

    이 측정값의 결과가 절대적이지는 않지만 LG U+ / SKT의 LTE 속도는 현재 체감할 수 있는 거의 최고 속도에 가깝고 KT / SKT 3G 역시 다운로드 속도 기준으로는 상당히 준수한 모습을 보인 테스트였다.

     

    와이브로 에그와 같은 개념인 LG U+ LTE 라우터의 경우 최대 속도가 15Mbps를 거의 못 넘는 상황을 생각한다면 폰 안에 들어간 LTE의 속도는 상당히 빠른 편이라 할 수 있다. 다만, LG U+와 SKT의 LTE 속도 차이가 거의 나지 않기 때문에 LG U+가 주장한 SKT 대비 2배 빠른 LTE란 말은 좀 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할듯하다.

     

    필자의 개인 NAS(네트워크 하드)에 있는 동영상을 스트리밍으로 재생해보았다.

    동영상은 1.2Mbps의 정보량을 갖는 HD동영상(1,280x720)이다.

     

     

    예상되는 장단점들

    LTE 스마트폰의 장점은 매우 확실하다. 위의 속도 테스트에서 알 수 있듯이 LTE를 쓸 수 있는 지역에선 일반 유무선 공유기에 근접한 속도로 인터넷을 쓸 수 있다. 동영상에선 포함시키지 않았지만 3Mbps 전송량의 HD 동영상 스트리밍 재생도 LTE는 정상적으로 됐던 반면 3G에선 동영상을 아예 볼 수 없었는데 20Mbps 안팎의 다운로드 속도가 보장된다면 HDTV 방송을 실시간으로 보는 것까지 가능할 정도로 LTE는 빠르다.

     

    하지만 그에 따른 단점도 같이 존재한다. 우선 LTE 망의 안정화가 시급한데 이날 시연된 갤럭시 S2 LTE / HD LTE 모델들 모두 망 안정화의 문제로 종종 네트워크가 먹통이 되거나 3G망하고 차이 없는 속도를 보여주기도 했다. 20Mbps 이상의 속도가 나오는 건 좋은데 이런 속도를 지속적으로 보여주는 것 또한 꽤 중요한 일이기 때문에 이러한 망 안정화 작업이 우선적으로 가장 시급하게 진행되어야 할 부분일 것이다.

     

    LTE라 하더라도 이런 속도가 나올 수도 있다.

     

    그리고 LTE는 현재 지하철에서 쓸 수 없는데 가장 대중적인 교통수단인 지하철에서의 사용을 비롯해 시내 구석구석까지 LTE를 쓸 수 있는 망 커버리지의 확대 또한 절실할 것이다.

     

    필자가 사용하는 LTE 라우터. 서비스 직후인 7월에 비하면 서울에서 쓸 수 있는 LTE 지역은 정말 많이 늘어났다.

    하지만 아직도 3G나 와이브로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그리고 LTE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데이터 LTE + 음성 3G로 사용이 되고 LTE 지역을 벗어날 경우 데이터도 3G로 전환된다. 결국 3G와 4G 통신을 언제나 같이 쓰는 셈이기 때문에 이에 따른 배터리 소모하고 4G ↔ 3G 데이터 전환 시 발생하는 지연을 얼마나 줄이느냐도 LTE 전국망이 완성되기 전까진 극복해야 할 문제점 중 하나다. 일단 삼성 측에서는 4G ↔ 3G의 데이터 전환(핸드오버)에 대한 데이터 지연은 최소화 시켰다고 발표한 상태인데 역시 시간을 갖고 지켜봐야 할 부분이다.

     

    그리고 HD LTE 라인업 중 첫 출시가 예정되어 있는 LG U+ 모델(SHV-E120L)의 경우 LTE 지역을 벗어나 3G 망으로 데이터를 쓸 경우 가장 느린 CDMA EV-DO Rev. A로 접속되기 때문에 LTE를 쓰다가 3G로 접속다면 엄청나게 많은 답답함을 느낄 가능성이 크다.

     

     

    요금제도 관건이다.

    갤럭시 S2 LTE의 경우 약 85만원 정도로 출고가가 확정된 상태다. 다만 LTE 요금제 관련해서 통신사들이 방통위와 조율 중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한 달에 얼마를 내야 LTE 폰을 살 수 있는지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알려진 사실이 없다. 무제한은 없을 가능성이 크고 요금은 3G보다 좀 더 비싸질 가능성이 크다는 게 들리는 소문이다.

     

     

    그렇다면 어찌되었건 무제한 없이, 전체적으로 더 비싼 금액을 들여 LTE 스마트폰을 살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 최대 5배정도 느린 속도에 더 저렴하고 데이터 무제한이 가능한 3G 스마트폰이냐, 돈을 더 내고 무지하게 빠른 속도의(단, LTE 전국망이 되기 전까지는 아직도 1~2년 이상 기다려야 한다) LTE 스마트폰을 구입하느냐의 갈림길이 생긴다.

     

    LTE 스마트폰 VS 3G 스마트폰, 여러분의 선택은?

     

    LTE를 쓸 수 있는 지역에 주로 거주한다면 LTE 스마트폰을 구입해도 그 가치를 충분히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동이 많은 영업직이나 서울 밖을 다니는 빈도가 많다면 3G 스마트폰이 금전적인 가치가 더 높을 가능성이 크다.

     

    에누리닷컴 이홍영 기자 (openroad@enuri.com)

    신고

    리뷰게시판 인기 게시글

    전체 댓글

    0/1,000

    등록
    • 등록순
    • 최신순

    리뷰게시판의 다른 글

    로그인 하고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로그인 하고 에누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에누리TV

    더보기

    커뮤니티 인기글

    더보기

    많이 본 뉴스

    더보기

    BEST 구매가이드

    더보기

    투데이 HOT CLIP

    더보기
      이전글
      다음글